☆ 자전거의 각 명칭
☞ 프레임 (Frame)
프레임은 자전거의 틀이다. 프레임에 따라 자전거의 모양과 특성이 대부분 결정된다.
우리가 흔히 불수 있는 프레임은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다이아몬드형 프레임이다
프레임 소재는 알로이(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카본등이 있다
☞ 바퀴
바퀴는 허브, 스포크, 림, 튜브, 타이어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휠셋이라하면 허브,스포크, 림, 큐알이 결합된것을 지칭한다
① 허브
허브란 바퀴의 중심축으로 바퀴가 굴러 갈수 있도록 해주는 베어링 구조물이다
허브의 핵이라 할수 있는 베어링은 볼베어링과 실드베어링이 있다
예를 들면, 시마노제품은 볼베어링을 사용. 마빅은 실드베어링을 사용한다
② 퀵 릴리스 Quick Release
줄여서 큐알 (QR)이라고도 하는 퀵 릴리스는 바퀴를 자전거에 쉽게 고정하고 분리할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③ 림
림은 바퀴의 틀로 둥근 형태를 유지시켜 주고 타이어와 타이어 안에 있는 튜브를 고정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④ 스포크 와 니플
허브를 통해 림에 연결된 철심이 스포크인데 보통 『살』이라고 부른다
니플은 스포크를 림에 연결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너트의 일종이다
대부분의 경의 하나의 바퀴에 32개의 스포크가 있다
⑤ 타이어
자전거에 따라 적당한 크기 및 폭의 타이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26 X 1.95 타이어에 이런 수치가 있으면 타이어의 지름이 26인치, 폭이 1.95인치란 뜻이다
로드용 타이어는 폭이 작고, 크로스컨트리 및 다운힐용은 폭이 크다
무늬가 있는 블록타이어(일명 깍뚜기)는 비포장도로에 좋으며, 무늬가 없는 슬릭타이어 또는 세미슬릭타이어는 포장도로에서 좋다
☞ 조향장치
조향장치는 자전거를 탈때 방향을 조정하는 운전장치로서 핸들바, 스템, 포크 그리고 헤드셋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품들은 헤드셋을 중심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헤드셋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포크와 스템의 종류가 달라진다
① 핸들바 (handlebar)
자전거의 방향을 조정하는 가장 근본적인 도구이다
② 스템 (stem)
핸들바와 포크를 연결시켜주는 「 자 모양의 부품
③ 헤드셋 (headset)
포크와 스템 그리고 핸들바가 원활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해주는 베어링 구조물이다
④ 포크 (Fork)
앞바퀴를 붙잡고 있는 부분으로 핸들바와 연결되어 자전거의 방향을 조정할수 있게 해준다
☞ 동력전달장치
동력전달시스템은 사람의 힘을 뒤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페달, 크랭크 세트, 바텀 브래킷, 스프라켓,
프리휠, 그리고 체인으로 구성된다
① 페달
페달은 사람의 힘을 직접 받아 자전거에 전달하는 부품으로 종류가 다양하다
종류 : 일반페달(평페달), 토 - 클립페달, 클립리스 페달
② 크랭크 세트 (크랭크암 과 체인링)
크랭크암이란 페달과 연결된 막대처럼 생긴 부품으로 대개는 줄여서 크랭크라고 부른다
체인링은 크랭크암과 연결되어 체인을 돌여주는 톱니바퀴이다
체인링이 많으면 더 많은 기어비를 사용할수 있어 험한 지형도 쉽게 다닐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체인길이의 변화가 커서 과격한 활둥중에는 체인이 쉽게 빠지는 단점이 있다
③ 바텀 브래킷 (Bottom Bracket)
바텀 브래킷은 보통 영문의 앞 문자만을 인용해서 비비(BB)라고도 한다
프래임에 설치되어 있는 이것은 양쪽 크랭크암의 중심과 연결되어서 크랭크암이 원활하게 회전할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 구조물이다
④ 스프라켓 (sprocket)
뒤바퀴에 있는 톱니판을 스프라켓 또는 콕 (cog) 이라 한다.
자전거 종류에 따라 한개에서 많게는 열개까지의 스프라켓을 가지고 있다
각 스프라켓마다 톱니수가 다른데 이는 스프라켓마다 기어비를 달리해 주어 다양한 지형에서
자전거를 탈수 있게 해준다. 톱니수가 많은것은 저단기어에 사용되며 높은 언덕을 오를때 유리하다
반면 톱니수가 적은 것은 고단기어에 사용되며 평지에서 고속으로 달리는데 유리하다
⑤ 프리휠 (free wheel)
프리휠은 뒤허브에 붙어있는데 뒤바퀴에 체인과 맞물려 있는 스프라켓의 안쪽에 있어서 직접
보이지는 않는다.
현재 나오고 있는 대부분의 제품은 허브와 프리휠의 일체형인 카세트 허브로 되어있다
⑥ 체인
스프라켓과 체인링에 연결되어 사람의 힘을 페달을 통해 뒤바퀴에 전달하는 역활을 하는 쇠줄이
체인이다. 최근에는 체인도구없이 손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파워(마스터)링크를 사용하는
체인도 나오고 있다
☞ 변속장치
변속장치는 사용하는 기어를 지형에 따라 수시로 바꾸어 주행을 쉽게 하도록 해준다
즉, 오르막에서는 저단 기어로 바꾸어 속도는 낮아도 적게 힘을 들여 올라갈수 있도록 해주며,
평지에서는 고단기어로 바꾸어 속도를 높일수 있도록 해준다
① 앞 변속기 (프런트 디레일러 front derailleur)
앞 변속기는 체인을 하나의 체인링에서 다른 체인링으로 이동시키는 역활을 한다
앞 변속기는 체인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두개의 금속판이 있다
이 두 금속판의 크기와 넓이에 따라 변속기의 특성이 결정된다
② 뒷 변속기 (리어 디레일러 rear derailleur)
뒷변속기는 체인을 하나의 스프라켓에서 다른 스프라켓으로 이동시켜서 기어비를 달리 해주는
장치이다. 체인링 위에서 동작하는 앞 변속기와는 달리 뒷변속기는 스프라켓의 아래에서 동작하여
변속할때 마다 발생하는 체인의 길이 변화를 보상해 준다
즉, 케이지와 폴리를 통해 기어 변동에 따라 체인의 처짐을 조정해 준다
③ 변속 레버 (디레일러 레버 derailleur lever)
변속 레버는 변속기와 연결된 케이블을 손으로 당겨주고 풀어줌으로써 변속기를 조정하는 역활을
한다.
☞ 브레이크 장치
① 브레이크 종류
브레이크 제동부위에 따라 허브에 작동하는 허브 브레이크와 림에 작동하는 림 브레이크로 분류된다
또한 브레이크는 작동 시스템에 따라 분류하는데 현재 사이드 - 폴 브레이크, 파워 브레이크,
다이렉트 - 폴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유압식, 기계식)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② 브레이크 패드
림에 직접 닿아 제동시키는 고무를 브레이크 패드라 한다. 일반적으로 패드가 넓고 고무가 단단
할수록 좋은 성능을 보이며, 세라믹 코팅이 된 림은 세라믹용 브레이크 패드를 쓰는것이 좋다
③ 브레이크 레버
브레이크 레버는 손으로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손잡이이다
④ 케이블
케이블은 브레이크 레버나 변속 레버로 부터 브레이크와 변속기에 힘을 전달하는 역활을 한다
☞ 안장부분
① 안장
② 안장대
안장을 프레임으로부터 지지해 주는 막대가 안장대이다. 안장대는 안장의 높이와 앞, 뒤 위치를
조정해 주는 역활을 한다
'전체 > 잔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풀브레이크( v 브레이크) (0) | 2015.11.17 |
---|---|
[스크랩] 자전거 프레임의 구조와 이해 (0) | 2015.11.17 |
[스크랩] [펌] 자전거 셋팅 공식정리 (0) | 2015.11.17 |
[스크랩] [펌] 조립과 분해시 알아야할것들 (0) | 2015.11.17 |
[스크랩] 산악자전거 타는 사람들의 등급 분류 (퍼옴) (0) | 201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