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풀브레이크( v 브레이크)
♣ 자전거에 쓰이는 브레이크의 종류는 크게 2가지로 나눔
1. 림 저항방식 (Rim Brakes)
2. 허브 저항방식 (Hub Brakes)
#첫째
림 저항방식의 대표적인 브레이크는 캔티레버 브레이크 (Cantilever Brakes) 이다
캔티레버 브레이크는 2가지 방식이 있는데 센터풀 캔티레버 브레이크 (Center-Pull Cantilever Brakes)와
다이렉트 풀 캔티레버 브레이크(Direct - pull cantilever Brakes) 이다
① 센터풀 캔티레버 브레이크 (Center-Pull Cantilever Brakes)
이 브레이크는 흔히들 캔티브레이크라 부르는 것으로, 90년대 중반까지 MTB에 널리 쓰였고 싸이클로크로스(Cyclocross)나
투어링 바이크에는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캔티레버 브레이크의 패드는 논 카트리지 방식을 사용하는데, 논 카트리지 방식은 패드 전체를 교환해 주어야 한다
☞아래 그림은 논 카트리지 패드
② 다이렉트 풀 캔티레버 브레이크(Direct - pull cantilever Brakes)
이 브레이크는 우리가 흔히 브이 브레이크(V - Brakes)라 부르는 형태의 브레이크로서 리니어 풀(Linear - pull)방식이라고도 합니다
리니어 풀 브레이크의 패드는 논 카드리지 방식과 카트리지 방식이 있는데 논 카트리지 방식은 패드 전체를 교환하는 방식이고
카드리지 방식은 패드 인서트만 교환해 주면 된다
☞ 아래 그림은 카트리지 패드
☞ 아래 그림은 카트리지 패드의 종류
#둘째
허브 저항방식의 대표적인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s)이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2가지 방식이 있는데,
케이블에 의해 작동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입니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현재 MTB 자전거에서 그 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는 브레이크인데, 커다란 회전판(로터)이 허브에
장착되어 돌아가면서 포크와 싯스테이에 장착된 캘리퍼에 의해 제동이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허브와 로터의 체결방식에 따라서도 몇가지 종류가 있는데 예전에는 3볼트 방식도 있었으나 요즘은 6볼트 방식으로 표준화
되었습니다.
케이블 디스크 브레이크가 좋냐 ?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가 좋냐 ?
성능면에선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가 좋지만
케이블 디스크 브레이크도 충분히 브레이크의 역활을 감당할수 있다
그리고 MTB 자전거로 산이나 임도를 달린다면 디스크 브레이크를 권장하지만
MTB 자전거를 로드 위주로 라이딩한다면 굳이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착할 필요는 없다
리니어 풀 브레이크(Linear - pull Brakes)로도 로드 라이딩에는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한다